본문 바로가기

미역/물류

CY 공부1

물류 공부한 것들을 그냥 주저리주저리 적어놓은 내용이라 두서없다.

 

  • CY : Container Yard
  • 게이트 : 컨테이너 반입/반출을 위해 육상으로 이동하는 차량이 지나야 하는 관문.
  • // 차량은 허가된 업체에서만 출입이 가능하기에 차량은 사전에 코드가 부여되어 있는데, 차량코드는 운송사 번호 4 + 차량 뒷번호 4 로 돼있다.
  • 컨테이너 샤시 : 차량이 컨테이너를 운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받침, 규격은 20,40ft가 있다. 주로 40ft를 사용한다. 20ft 컨테이너 2개를 싣기 때문이다.
  • COPINO : Container pre notification(운송사 -> Terminal), 운송사에서 터미널로 컨테이너를 반출입하기 전 사전에 전송하는 정보. EDI 문서 명칭.
  • CODECO : Container gate in/out report(Terminal -> Line), 컨테이너의 터미널 게이트 반출입 확인 정보. EDI 문서 명칭.
  • 철송 : 컨테이너 반입/반출을 위해 철도로 오는 기차가 지나야 하는 관문.
  • 화차 : 컨테이너 샤시와 같은 물건으로 기차에서 쓰는 거다.
  • // 철송일 경우는 게이트와 다르게 EDI를 통해 CY에 정보가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코레일의 철도물류정보서비스를 통해 반출입 예정을 등록한다. 이 정보는 ftp(the File Transfer Protocol)을 통해 CY가 가져간다. 또한 철송은 철도의 스케쥴을 알고 있어야 한다. 철도에 이미 기차가 들어와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지를 체크해야 하니까.
  • // 코레일에서 주는 화차조성정보 - 열차의 번호, 열견된 량(각 화차의 번호), 들어올 시간
  • 차입/인출 : 기차가 들어옴/나감
  • 하화 : 화물을 내린다(수령)
  • 장치장 : 야드
  • // 야드 ⊃ 블럭군 ⊃ 블럭 ⊃ 베이. 사진을 통해 자세히 설명.

 

컨테이너가 적재되어 생기는 가로를 Row,

세로를 Tier라고 칭하고 이렇게 생기는 한 면을 Bay라고 말한다.

한 블럭에는 𝒳 Bay가 놓일 수 있는 거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  • 조성선 : 선로에 화차를 조성해두면 조성선
  • 작업선 : 조성선에다가 작업 배치하면 작업선.
  • MIG : EDI 내용규정 파일.
  • KROIS : 철도운영정보시스템(Korea Railroad Operating Information System), 현재는 XROIS로 업그레이드했다고 한다.
  • UNNO : UN number.
  • IMDG : 해상으로 운송되는 위험물 중 포장형태로 운송되는 위험물에 적용되는 국제기준.
  • 터미널 : 컨테이너 전용 부두

'미역 > 물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Y 공부2  (0) 2021.05.28